[2001년 3월호]

DJ홍보, 정권이익 대변

공영방송 편파보도 안돼

한나라당 朴寬用(박관용) 특위위원장

KBS 불공정보도에 공개질의서

박관용_특별위원장.jpg

<朴寬用 한나라당 특위위원장>

한나라당 언론장악저지 특위(위원장 朴寬用)는 지난 12일 KBS에 대한 공개질의서를 통해 편파 왜곡 불공정보도를 규탄했다.

이 질의서는 시청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이 정권이나 특정 정파의 이익을 대변하기 보다 국민의 방송으로 공정보도해야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또한 공영방송이 시청률에 집착하여 선정적 방송을 일삼고 DJ정권의 홍보기관 역할에 충실하며 여당기사는 부풀리고 야당기사는 축소하여 여론을 왜곡 조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질의서는 2월 20일까지 성의있는 해명과 반성을 촉구하며 만약 설득력있는 조치가 없을 경우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시정을 관철시키겠다고 밝혔다.

언제부터 시청률의 노예가 되었나

한빛은행 부정대출사건 청문회의 경우 KBS가 생색내기용으로 단 하루 그것도 겨우 4시간만 방송했다.

청문회의 생방송을 거부하는 것은 청문회 제도의 의미를 말살하고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헌법적 도전이 아닐 수 없다.

KBS는 시청률을 핑계로 중계를 거부했지만 대법관 인사청문회의 경우 1%도 안되는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중계방송했던 사례가 있다.

KBS는 권력층이 요구할 때는 시청률이 아무리 낮아도, 심지어 채널선택권 봉쇄라는 항의가 빗발쳐도 중계를 강행해왔다.

지난해 11월 방송의 날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TV 3사가 녹화로 동시 방영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홍보기관인가, 보도기관인가

야당총재의 신년회견 보도는 축소하면서 김대중 대통령의 신년회견은 집중보도로 고뇌하는 대통령 이미지 부각을 시도한 바 있었다.

또한 토론프로 편성도 불공정하지 않았는가.

대통령 연두회견에서 언론개혁 발언이 나온 후 기획프로와 토론프로를 동원하여 여론몰이에 나섰으며 지난 2월 3일 심야토론은 출연자 구성이나 사회자의 진행방식이 정부에 기운 모습이었다.

안기부자금 관련사건도 수사과정에 있어 어느 것도 확증되지 않았는데도 한나라당을 범법자 집단으로 몰아가고 있고 추적 60분 보도는 여권의 정치공세를 기정 사실화하고 야당 주장은 외면한 편파보도가 분명하다고 본다.

9시 뉴스에서도 한나라당의 DJ비자금 수사촉구를 안기부자금 사건에 대한 맞불작전으로 규정(1월 10일)하고 검찰의 ‘명백한 안기부자금 확인’ 주장을 강조하며 강삼재 체포 동의안 제출의 당위성을 부각시켰다고 본다.

그리고 1월 12일 MBC와 SBS는 ‘당선자 시절 DJ가 검찰 총장에게 비자금 수사기록을 축소토록 지시했다’는 YS의 발언을 보도한 반면 KBS는 보도치 않았다.

야당을 폄하하고 축소하는 기관인가

대통령에 대한 보도는 항상 톱뉴스이면서 이회창 총재의 2월 6일자 대표연설은 11번째 아이템으로 취급하였으니 의도적 왜곡아닌가.

MBC는 5번째 SBS는 3번째로 보도한 것과 비교된다.

지난 1월 26일 설날 민심을 보도하면서 여당에게는 이적 파문 비판과 강한 여당 주문, 야당에게는 정쟁과 당리당략을 질책하는 인터뷰를 편집하여 한나라당이 정쟁의 주원인인 듯 비치게 했다.

한빛은행사건 관련 한나라당 의원의 사직동팀 항의 방문도 왜곡보도 아닌가. 왜 사직동을 찾아갔는지는 보도하지 않고 몸싸움만을 보도했는가.

뒤이어 ‘한나라당, 사직동팀 심한 몸싸움’ ‘난입폭력 수사’ 등으로 방문경위는 빼고 폭행사태에 초점을 맞춰 야당이 마치 폭력집단인양 왜곡보도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 지난해 11월 국정홍보처가 실시한 여론조사를 한달후인 12월 29일 상세히 보도하여 여론을 호도하려 했었다.

작위적 질문과 보도 시점의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여론조작을 위한 의도된 보도가 분명해 보인다.

또한 지난해 11월 22일 연속하여 국회파행의 원인 설명없이 여야 의원의 자성 목소리를 빌어 국회정상화의 시급성만을 강조하고 다음날은 ASEAM회의로 출국하면서도 경제를 걱정하는 김대통령의 모습을 대비하여 고도의 기술적 편파 보도를 하지 않았는가.

여당은 비호하고 부풀리지 않았나

지난 1월 4일 영수회담에 대한 보도와 관련, 의원 꿔주기의 편법을 동원하여 여야관계를 악화시킨 여권의 원인제공 행위는 외면한 채 영수회담장에서의 공방과 회담 후 이회창 총재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편파보도로 여론을 왜곡하려 했다.

의원 이적 파문에 대한 보도에서 1월 2일, 자민련 실체불인정으로 인한 정치불안정 타개책이라는 민주당 입장을 집중 부각하며 ‘10석이라도 실체를 인정해야 한다’는 YS 반응을 자막으로 처리하여 파문진화에 주력한 셈이다.

이회창 총재의 국회정상화 결단도 의미를 훼손시켰다.

지난해 11월 24일 모든 신문이 이 총재의 등원 결단에 찬사를 보냈지만 KBS는 의미를 축소보도했다.

지난해 9월 여권과 검찰의 편파적인 선거수사와 국정파탄을 규탄하는 한나라당의 장외집회를 의도적으로 소홀히 취급하거나 축소 왜곡하고 ‘국정을 팽개친 채 야당이 억지를 부린다’는 식으로 이미지 조작 보도를 했다.

그리고 9월 4일 부평집회는 첫 규탄대회임에도 9시 뉴스에서 30분대에 편집하고 많은 군중이 모였던 서울, 부산, 대구집회는 20번째 아이템으로 편성, 집회의 의미와 비중을 평가절하 하였다.

여당의 귀책사유는 외면하나

검찰 총장 탄핵안이 여당의 물리적 저지로 무산되어 야기된 국회파행사태에 대해 사회각계의 비난여론이 팽배함에도 KBS는 국회파행의 내막은 간과하고 경제위기만 부각시켜 여야에 책임을 분담시키는 양비론적 보도로 일관했다.

구체적으로 여야대립으로 인한 ‘경제위기해결차질’에 초점을 맞춘 보도로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여론의 왜곡의도를 드러내지 않았는가.

특히 자료화면도 ‘한나라당의 거친 의장실 항의 방문 모습’ ‘국회 불참 모습’ 등 발목잡기 현장 이미지를 편집하여 국회 공전 책임을 한나라당에 전가시키지 않았던가.

당시 주요신문들은 ‘여권 또는 민주당 쇄신론’으로 여권 책임을 강조한 반면 KBS는 문제의 본질을 외면한 편파보도를 자행했다.

KBS는 보도분야의 특정지역 인사들이 현정부의 특정지역출신 실세의 비호 속에 정권홍보에 앞장서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만큼 공정인사를 통한 공정보도 공정방송을 촉구할 용의가 없는가.

“KBS 응답보고 대응하겠다”

한나라당 언론장악저지 특위 박관용(朴寬用) 위원장은 경제풍월과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공영방송의 편파보도가 도를 지나치지 않았느냐고 반문한다.

왜 2월 20일까지 KBS에 대해 확답을 달라고 요구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임시국회가 28일 종료되기 전까지 결과를 보고 국회에서 질의, 답변을 들어야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왜 KBS만 문제냐는 질의에 대해 시청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이 가장 문제일뿐더러 MBC나 SBS는 절로 같은 잣대가 적용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또한 민주당의 반응에 대해서는 ‘정면으로 반박할 말이 없었을 것’이라고 해석하며 기껏해야 YS의 동경발언에 대해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왠말이냐”고 항변하는 정도라고 일러준다.

박 위원장은 여당과 정부의 방송을 이용한 여론조작이 교묘하다고 혀를 내두른다.

‘언론사도 세무조사의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원론을 누가 모르느냐고 반문하며 당연한 세무조사를 실시하면서 그 시기나 방식에 대해 누가 납득하겠느냐고 지적한다.

그는 내년 선거를 앞두고 언론길들이기에다 대북정책 비판에 대한 보복성이 눈에 비친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세무조사나 공정거래위를 통한 조사가 정부여당의 뜻대로 성공하리라고 보지 않는다고 논평했다.

“긍정적 답변 오리라 믿는다”

박 위원장은 언론길들이기가 세칭 빅3로 불리는 ‘조중동’(朝中東)이지만 중앙일보는 지난번 세무조사로 어느 정도 길들여졌을테니 결국 ‘조동’(朝東)이 핵심이라 해석한다.

그리고 이는 보수언론의 길들이기라고 주장한다.

방송과 친여신문을 통해 보수언론을 규탄하고 일부 시민단체들 마저 이에 가세하고 있는 현실을 모르겠느냐는 주장이다.

박 위원장은 지난해에 공개된 언론개혁문건이 밝힌 수순이나 방식대로 지금 언론개혁이 추진되고 있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목적이 순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주도의 언론개혁은 성공할 수 없다고 단언하며 여론조사를 빙자하여 세무조사를 통한 언론압박은 일종의 여론조작이라는 의견이다.

박 위원장은 ‘언론개혁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물으면 대다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것처럼 야당의 정치탄압에 대해 질문하면 절대다수가 ‘그렇다’고 대답하지 않겠느냐는 말이다.

박 위원장은 세무조사가 공정투명한 경우 기소해야할 사항이 있으면 조사결과를 공개해야 한다는 원칙에 동의한다. 그렇지만 국민의 관심을 호도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의 공개는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KBS 불공정 보도에 대한 공개질의서 발표이후 항의도 받았지만 떳떳하다고 밝힌다.

인터넷 항의나 전화 비난도 있었지만 상당기간 충분한 모니터링을 거쳐 집약된 사실들이라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겁날 것이 없고 주저할 것도 없이 공영방송의 공정방송은 정권차원이 아닌 국익차원의 개혁과제이기에 끝까지 줄기차게 밀고 나가겠다는 각오이다.

아울러 KBS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이 오리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덧붙인다.

그렇지만 언론개혁이 정치권의 정쟁으로 확대되고 공영방송의 편성이 정치적 시비의 대상이 되는것을 국민이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