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책수혜로 세계 최대 풍력발전

<산업기상-에너지산업 기획>

국내 풍력에너지 자립 요원
[정책․내수 기반 약화]
중국, 정책수혜로 세계 최대 풍력발전
두산-한전, 해외시장 공동 진출 모색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서남해 해상풍력단지 사업이 최종 승인이 되면서 4월에 착공식이 열리고 드디어 첫 삽을 뜨게 된다. 이미 2년 전에 1단계 사업을 마쳤어야 했지만 난항으로 많이 늦쳐진 상태다.
신재생에너지로 각광받았던 풍력에너지 산업이 뜨고 있는 태양광 사업과는 달리 현재 시름하고 있는 양상으로 국내 풍력 산업정책 또한 날로 정체되어 가는 형국이다. 정부의 지원으로 개발된 풍력관련 부품은 가격과 신뢰성 검증의 이유로 국내 판로조차 개척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풍력산업에 진출했던 기업들은 관련 사업부를 해체․매각하거나 구조조정을 통해 축소하는 등 전반적인 국내 풍력산업이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 2014․2015년도 세계 풍력터빈 제조사 순위(신규 설치 용량기준), (Source=BNEF)

세계시장 확대, 국내사업 축소 추세

세계 풍력시장은 매년 증가태세로 2019년까지 연평균 11%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며 250GW 정도의 신규 설치가 예상되고 있다. 이 중에서 91.5%는 육상풍력발전이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상풍력 시장은 연평균 18%씩 성장하여 2020년까지 총 37GW가 신규로 설치될 전망이다.
국내 풍력발전시장에서 2015년 한 해의 설치용량은 역대 최고치인 220MW로 취합될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굴지의 터빈 제조사인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효성등은 현재 풍력사업에서 손을 떼거나 사업축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두산중공업의 풍력사업은 양호한 편이다.
2015년 세계 7위권 진입목표를 가지고 2008년에 풍력산업에 진출한 삼성중공업은 2014년에 풍력발전사업부를 해체하고 독일 함부르크 소재의 풍력센터를 알스톰에 매각했다. 2008년에 라이선스 형태로 풍력발전사업에 진출한 현대중공업 역시 2014년 풍력사업을 축소했고, 서남해 해상풍력사업 참여에 포기했다. 2014년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5MW 풍력발전기를 개발한 효성도 서남해 해상풍력사업에 불참을 선언했다.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우조선해양의 풍력사업도 이미 구조조정에 있다.

▲ 자료: Energy Balance of OECD Countries, IEA 2015 Edition, (2014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서 재인용)

주민동의․정책 미흡으로 단지조성 지연

영양․영암 육상풍력발전단지에 추가로 건설하려는 풍력발전단지계획이 주민들과 소통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제주 탐라해상풍력은 최근 해저 지반공사중 발생한 흙탕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다. 한국남부발전과 삼성중공업의 합작법인(SPC)으로 진행되고 있는 제주 대정해상풍력도 군기관의 통신 문제, 지속적인 민원과 경제성이 낮다는 감사원의 감사결과(‘공공기관 경영관리실태’ 2015년 3월)로 사업 착수가 지연되고 있다.
여기에 FTI컨설팅(FTI Consulting, Inc.)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풍력터빈 설치용량의 약 58% 가량은 외산 기자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9.4MW의 GS 영양 풍력 발전소에는 덴마크 베스타스(Vestas)社의 기자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제주 김녕풍력(30MW)과 태백풍력(10MW)에는 프랑스 알스톰(Alstom)社, 제주 가시리풍력(30MW)에는 독일 지멘스(Siemens)社의 기자개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국내 풍력시장에서 해외사를 대비한 경쟁력이 취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풍력발전의 부품과 시스템 제작에서의 경쟁력 미비를 지적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작사들은 다양한 제품 모델을 확보하지 못해 경쟁력 약화와 이에 따른 매출부진으로 인한 기술개발 투자도 버거워서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민자 풍력발전단지 사업의 60% 이상이 해외사인 베스타스, 지멘스와 알스톰 등이 점유하고 있다.
또한 선진기술을 확보한 해외사들과의 기술협력과 라이선스 등의 방법으로 제품을 개발할지라도 장기 실증운전 시스템의 부족과 부품 취적화․신뢰성 확보도 미흡하여 운전 중 고장 시에 의한 수리․보상비용이 증대되고, 부품 모델 변경시의 재인증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다시 투입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 (사진 좌)제주 월정 해상풍력 실증 플랜트(2012). ▲(우측)김녕 육상풍력. (사진=두산중공업)

전략적 정책의 中업체, 글로벌 시장 1위

1998년부터 시작된 풍력산업의 기술개발 및 보급 정책의 실행으로 중국은 거대한 내수시장의 기반을 확보한 상태에서 현재는 세계 1위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기술력 확보에도 정책적인 지원 하에 놓여있어 자국의 풍력산업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중국은 전략적으로 2020년까지 풍력발전 200GW 설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지난해 블롬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BNEF)의 세계 풍력터빈 시장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골드윈드(金風, GoldWind)가 신규로 7.9GW를 설치하여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상위 15개 제조사 중 중국 업체가 무려 8개사가 차치하고 있어 현재의 글로벌 풍력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골드윈드社는 중국의 ‘863 프로그램(China’s National High-Tech R&D Program)’ 정책지원에 힘입어 중국 시장에서 27%의 튼튼한 내수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 호주, 아프리카, 유럽을 비롯하여 한국에도 지사가 있을 정도로 최근 강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양적인 팽창과 함께 기술적인 효율성까지 중국 업체들이 선점하게 된다면 국내 풍력관련 업체들의 약진은 더욱 더 어려울 전망이다.

두산중공업-한전, 해외망 통한 공급전략

▲ 서남해 해상풍력 개요도. (사진=한국해상풍력)

두산그룹(회장 박정원)은 다른 대기업의 풍력사업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철수하고 있는 실정과는 다르게 풍력발전사업에 명백을 유지하고 있다.
두산중공업(대표이사 부회장 박지원)은 한국전력공사(사장 조환익)과 함께 해외 풍력발전 시장을 공략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외 풍력발전 사업에 대한 공동 개발, 건설과 운영 등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3월에 체결했다.
한국전력은 이 협약을 통해 해외 풍력사업 공동 개발 추진 시, 두산중공업의 풍력발전설비를 적용할 수 있고, 설계에서 제작·시공까지 일괄 수행하는 공사 방식인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자로 선정할 수 있게 됐다.
한전은 현재 국내 유일의 해외 풍력사업 개발자로서 지난해 12월 국내 최초로 중동 요르단 암만에서 요르단전력공사(NEPCO)와 총 89.1MW 규모의 푸제이즈(Fujeij) 풍력 발전소 건설 운영에 대한 사업을 수주하는 등 해외풍력 사업에 대한 해외 네크워크와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경우, 2009년에 아시아 최초로 날개길이 44m의 3MW급 육․해상 복합발전기 자체 개발에 성공했으며 2011년에는 국내 최초로 3MW급 해상풍력시스템인 'WinDS3000TM'을 개발한 이후,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 육·해상 풍력발전기의 국내 최대 공급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07MW(3MW급 69기)의 풍력발전기를 공급해 운전 중이거나 건설 중에 있다.

▲ 두산중공업 그린에너지 풍력산업의 공급실절 리스트. (자료=두산중공업 그린에너지)

경쟁력 확보위한 유기적 반응 정책 要

지난 2011년 3월에 공포되고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촉진법’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2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자 비율을 10%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관련 발전사업자들은 낮은 정부 보조금과 채우지 못한 할당에 따른 전력생산 구매 비용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다.
조정된 ‘제4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에 따라 우리나라는 2035년까지 11%의 보급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하지만 한국에너지공단의 자료에 따른 2014년 기준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2.1%로 기타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OECD 국가 중 한국이 취하위권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26위, 공급비중은 34위에 머물러 있다. 또한 국내 풍력시장의 규모는 약 10조원으로 세계 시장의 약 2.5%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
이처럼 풍력업계의 상황이 좋지 못한 것은 신기후체제의 수립으로 온실가스의 감축 의무에 따른 필요․중대성은 절실하면서도 정부의 규제완화와 지원제도의 세심함이 모자라 내수 기반은 약하다는 평이다.
결과적으로 풍력산업은 좁은 국토면적에 협소한 내수시장, 주민동의의 부족으로 민간사업은 제한적이고, 이를 국책사업으로 추진한다 할지라도 그에 따른 세밀한 풍력 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에 와있다.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201호 (2016년 5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