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스마트폰·자동차·조선해양 등, 반도체·디스플레이도 급속한 추격세

수출주력 세계시장 점유율

6대산업 중국에 역전

전경련, 스마트폰·자동차·조선해양등
반도체·디스플레이도 급속한 추격세

전경련이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수출 주력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중국과 비교 분석한 결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제외하고 스마트폰, 자동차, 조선해양, 석유화학, 정유, 철강 등 6대산업이 중국에 역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과 자동차까지 중국에 뒤진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미래 먹거리산업의 발굴이 시급한 실정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의 스마트폰 무서운 성장세

스마트폰의 경우 2014년 2분기 기준, 중국의 화웨이, 레노버, 샤오미 등 9개사의 세계시장 점유율 합계 31.3%에 한국의 삼성, LG의 합계 30.1%로 중국이 1.2%P 앞서고 있다.
이는 고가 제품군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인기가 여전하고, 중저가 제품군에서는 가격과 기술 경쟁력을 겸비한 중국 업체들의 다양한 제품들이 자국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한국산의 세계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기업별 순위로는 2014년 2분기 현재 ①삼성 25.2% ②애플 11.9% ③화웨이 6.8% ④레노버 5.4% ⑤샤오미 5.1% 이다.

자동차·석유화학·조선마저 역전

자동차는 2003년 한국산 337만대(5.4%), 중국산 291만대(4.7%)로 46만대가 앞섰지만 2009년에 243만대나 격차를 보이며 역전됐다. 그 후 2013년에는 한국 생산량 863만대(9.8%)에 중국산 1,097만대(12.5%)로 격차가 벌어졌다.

그사이 우리나라는 해외생산을 통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9%까지 확대했으나 정체기에 접어든 반면 중국은 내수를 기반으로 해외 메이커의 기술을 습득하여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했다는 분석이다.

석유화학은 에틸렌 생산능력을 기준으로 2003년 한국 585만톤(5.34%), 중국 578만톤(5.27%)으로 우리나라가 약간 우세했으나 2004년부터 역전되어 2013년에는 한국 835만톤(5.4%), 중국 1,876만톤(19.2%)으로 1,000만톤 이상 격차를 보였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한국 3.6%에 중국은 12.5%를 기록했다. 그동안 한국도 지속적인 설비투자로 세계 4위권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은 10차에서 12차 경제5개년 계획을 통해 석유화학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함으로써 세계시장 2위에 도달한 것이다.

조선해양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이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인 수요진작과 금융지원으로 수주량(35%), 건조량(30.7%), 수주잔량(33.5%) 등 3대 지표에서 2013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LNG선, 드릴십 등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는 아직도 한국이 앞서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도 중국의 추격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한국이 앞서고 있으나 중국의 위협이 만만치 않은 전망이다.

반도체의 생산액 기준 한국은 2013년 16.2%, 중국은 2.1%, 디스플레이는 매출액 기준 한국 44.8%, 중국 10.4%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정부가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1,200억위안(20조7,540억원)의 국부펀드를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비하여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자동차 등 차세대 분야의 반도체 수요에 적시 대응하여 세계시장 선도자로서 기반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이 한국 5.6%, 중국 29%의 격차를 보였다. 최근 중국정부가 BOE, CSOT 등 자국 LCD패널 기업에게 금융지원을 통해 생산라인을 확충하고 6세대 이하 LCD 유리기판 관세율을 4%에서 6%로 인상, 자국산업 육성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의 철강산업 세계시장 절반차지

중국의 철강산업은 조강생산능력 기준 2003년 세계시장 점유율 22.9%에서 2013년 48.5%로 급성장한 반면 한국은 4.8%에서 4.1%로 감소했다. 특히 중국산 철강재는 우리나라 내수시장 비중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철강재의 원산지가 표기되지 않는 제도적 미비로 철강재의 대중국 무역수지는 2003년 27억달러 흑자에서 2013년에는 34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정유산업은 한국산 세계시장 점유율이 석유정제능력 기준, 2003년 2.8%에서 2013년 3%로 약간 높아졌으나 중국은 6.6%에서 13.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근래 중국 제조업은 추격형 전략을 바탕으로 가격경쟁력과 기술력까지 갖춘 ‘제조업 2.0’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고 진단하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주력산업이 중국에 따라잡히고 있는 상황에서 한·중 FTA 체결은 중국의 내수시장을 적극 공략함으로써 백척간두의 위기에 빠진 대한민국 주력산업을 다시 구출할 터닝 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유 본부장은 먼저 “기업은 중국과 격차를 벌릴 핵심기술력 확보와 기존 사업영역 이외 새로운 사업 발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올해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평균 나이는 55세로 2019년이면 환갑”이라며, “사람의 평균수명과 달리, 제품과 기술의 수명주기는 갈수록 짧아지고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주력산업 발굴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유환익 본부장은 “엔터테인먼트·헬스케어 등 새로운 국가대표 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려면 민·관이 함께 ‘새산업 운동’을 추진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본 기사는 월간 경제풍월 제185호 (2015년 1월호) 기사입니다]

이코노미톡뉴스, ECONOMYTALK

(이톡뉴스는 여러분의 제보·제안 및 내용수정 요청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pr@economytalk.kr 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톡뉴스(시대정신 시대정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